본문 바로가기

어떠한일상

제사 지방 쓰는법

반응형

9월 마지막 주인 추석이 코 앞으로 다가오면서

추석 준비가 한창인데요.

 

하지만 코로나 때문에 쉽게 왔다 갔다 하지 못 하는 분들도

많으실 것 같고, 집에서 간소하게 제사를 

지내야 하는 경우도 있을거 같습니다. 

 

그런데 제자를 지내기 위하여 

차례상을 준비하다보면

자방을 쓰는 경우가 많은 게 

자주 쓰는 것도 아니고 

내용도 잘 모를 때가 있기 마련입니다. 

 

이럴 때 지방을 쓰는 법을 

알고 있다면 쉽게 지방을 쓸 수 있는데요.

 

 

지방 쓰는 방법을 알아볼까 합니다. 

 

제사 지방이란??

 

주로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데

고인을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 대신 사용하였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치면 소각하는 것입니다. 

 

지방 내용으로는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

친속 관계, 조상의 관식(여성의 경우 봉호)

시호(여성은 성씨) 등을 나타내는 글입니다. 

 

 

지방 쓰는 법??

 

제사를 지낼 때 지방 같은 경우에는

보통 한문으로 쓰기 때문에 쉽지 않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태반일 것 같습니다. 

 

게다가 종이에 대한 규격도 정해져 있어

그 규격에 맞춰서 진행을 해야 하기 때문에

어렵다고 생각하기 일수인데요.

 

모든 지방은 고인의 제사를 모시는 사람 기준으로 

작성을 하는 게 올바른 방법입니다. 

 

제사는 제주의 집에서 지내는 것으로 

제사에서 제주가 되는 사람은 

고인의 장자나 창손이 제사를 집접 주제 하게 됩니다. 

 

 

 

일반 제사 지방 쓰는 법의 규격에는

가로 6CM, 세로 22CM로 세로로 길게 된 

한지나 창호지를 사용해주는 것이 맞다고 합니다. 

 

모시는 고인이 남성이면 왼쪽
여성이면 오른쪽에 적는 것이 맞는 방법입니다. 

 

요즘에는 한지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가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A4용지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것도 괜찮다고 합니다. 

 

 

제사 지방 쓰는 법!!!

 

1. 아버지 제사 지방

 

아버지의 지방 같은 경우에는 

위에서 아래로 현고. 학생. 부군. 신위로 읽습니다. 

 

각각 한자가 뜻을 나타내기 때문에 차례로

적어 내려 가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현고 : 모시는 조상

-학생 : 조상의 지위

-부군 : 조상의 이름

-신위 : 조상의 자리

 

 

2. 어머니의 제사 지방

 

 

어머니의 제사 지방은 위에서부터

현비, 유인(OO), 신위로 읽어 내려갑니다.

 

(OO) 공백란은 고인의 본관을 기입하면 되는데

예를 들어 경주 이 씨라면 

경주 이 씨를 기입하면 됩니다. 

 

 

3. 할아버지 할머니 제사 지방

 

 

할아버지, 할머니 제사를 지내는 경우라면

제사 지방 쓰는 법에서 

각각 현고와 현 비사가

조(祖)를 추가하고 

증조일 경우에는 증조를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4. 그 외의 제사 지방

 

 

이외에도 

남편은 현벽, 아내는 망실

형은 현형, 동생은 망제라고 쓰인다고 합니다. 

 

고인과의 관계 다음에는 직위를 적게 되는데

관직이 있다면 그것을 써주시면 되고

없는 경우라면 남성은 학생, 여성은 유인을 

적어주시면 올바른 기입이 됩니다. 

 

 

고인이 남성일 경우 부군으로 통일하며

여성일 경우에는 본관과 성씨를 씁니다. 

 

 

이를 구분하지 않고 남성에게도 본관과 

성을 쓰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잘못된 방법이니 조심하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신위를 적어주신다면

 

끝!!

 

 

지방을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봤는데요.

 

마지막으로 지방쓰 실 때 주의하실 부분이 있습니다. 

 

 

1. 모든 제사 지방은 고인의 제사를 모시는 사람 기준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지장을 재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지방을 보관한다는 것은 고인과 함께 동거하는 의미가 되기 때문에
원치 않는 우환을 들일 수도 있습니다. 

3. 제사를 지낼 고인이 1명일 경우에는 가운데 기입을 하고 

2명일 경우에는 남자가 왼쪽, 여자가 오른쪽에 기입이 됩니다. 

 

최근에는 한문을 어렵게 받아들여 

한글로 작성하는 분들도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분들도 너무 어렵다고 하시면 

참고하시어 한글로 조금이나마 쉽게 접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

'어떠한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례 지내는 방법  (0) 2020.09.30
차례상 차리는 방법  (0) 2020.09.29
코로나 추석 보내기  (0) 2020.09.29
추석 특별 방역기간  (0) 2020.09.28
2020년 코로나 추석인사  (0) 2020.09.27